육아와 교육

초등 입학 전 학부모님들께 - 초등학교도 고르셔야 합니다

GtheWALKaholic 2020. 3. 7. 13:34

초등학교 골라 보내기 준비를 위해

우리집 어린이가 초등학교 입학 즈음에 썼던 포스트를 다시 한번 정리해서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이글루스 블로그를 몇년간 방치해도 가장 인기가 많았던 유입은 역시 사립초등학교 관련 포스팅이었다.

곧 학교를 보내고자하는 학부모님들이 이 포스팅을 통해 조금이나마 학교 선택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

 

1. 초등학교의 종류에는 공립초/사립초/국립초가 있다!!!!

보통은 동네에 있으면 주소지 별로 근처의 초등학교에 배정되지만, 선택적으로 지원을 해서, 추첨을 거쳐서, 뽑히게 되면 갈 수 있는 국립초와 사립초가 있다.

국립초는 서울교대부속초등학교과 서울대사범대부속초등학교 두 곳 뿐이 없고, 사립초는 (서울시 기준으로) 40개가 있다고 한다. 공립초는 학비 부담이 없지만, 사립초는 비싼(?) 학비를 내야 하고, 국립초는 사립초 같이 (혹은 더??) 다양한 커리큘럼을 제공하지만 수업료 부담이 없다 정도로 요약된다. (그래서 국립초 추첨 경쟁률은 20~30:1로 치열함)

 

공립 · 사립학교 현황(2012년) (2012.3.1 기준, 시교육청) 

구분 학교별

학교 수(교) 학급 수(개) 학생 수(명) 교원 수 (명)

국립

공립 사립
합 계 2,208 45,400 1,310,881 73,082 12 1,100 1,096
유 치 원 872 3,763 81,237 5,653   155 717
초등학교 594 20,081 535,948 28,604 2 552 40
중 학 교 379 10,074 330,219 16,818 2 268 109
고등학교 317 10,560 353,632 20,484 3 114 200
특수학교 29 765 4,907 1,265 3 7 19
기 타 17 157 4,938 258 2 4 11

 

 

서울시 사립초 리스트  서울 외 전국 사립초 리스트

서대문구 경기초등학교 http://www.kyonggicho.es.kr

성북구 우촌초등학교 http://www.uchon.es.kr

은평구 선일초등학교 http://www.sunil.es.kr

은평구 알로이시오초등학교 http://www.aloysius.es.kr

은평구 예일초등학교 http://www.yale.es.kr

은평구은혜초등학교http://www.eunhye.es.kr  (은혜초는 2018년 폐교)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http://www.ewha.net

서대문구 추계초등학교 http://www.chugye.es.kr

은평구 충암초등학교 http://www.choongam.es.kr

마포구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http://www.hongik.es.kr

동대문구 경희초등학교 http://www.kyunghee.es.kr

중랑구 금성초등학교 http://www.kumsung.net

동대문구 서울삼육초등학교 http://www.seoul36.es.kr

동대문구 은석초등학교 http://www.eunseok.seoul.kr

금천구 동광초등학교 http://www.dongke.es.kr

도봉구 동북초등학교 http://dongbuk.es.kr

노원구 상명초등학교 http://www.smcho.es.kr

노원구 청원초등학교 http://www.cheongwon-seoul.es.kr

노원구 태강삼육초등학교 http://www.taegang.es.kr

도봉구 한신초등학교 http://www.ihansin.net

노원구 화랑초등학교 http://www.hwarang-s.es.kr/

서대문구 명지초등학교 http://www.myongji.net

강북구 영훈초등학교 http://www.younghoon.es.kr

중구 동산초등학교 http://seoul-dongsan.es.kr

중구 리라초등학교 http://www.lila.es.kr

종로구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http://www.sangmyung-ae.es.kr

중구 숭의초등학교 http://www.soongeui.es.kr

용산구 신광초등학교 http://www.shinkwang.es.kr

종로구 운현초등학교 http://www.unhyun.es.kr

강서구 유석초등학교 http://www.yooseok.es.kr

서초구 계성초등학교 http://www.gyeseong1882.es.kr

동작구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http://www.caude.es.kr

광진구 경복초등학교 http://kbes.kr

광진구 성동초등학교 http://www.sungdong.es.kr

광진구 세종초등학교 http://sje.sejong.ac.kr

성동구 한양초등학교 http://www.hye.or.kr

성북구 광운초등학교 http://www.kwangwoon.es.kr

성북구 대광초등학교 http://www.daegwang.or.kr

성북구 매원초등학교 http://www.maewon.es.kr

성북구 성신초등학교 http://www.sungshin.es.kr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http://www.aloysius-bs.es.kr

부산 남성초등학교 http://nsworld.net

부산 동성초등학교 http://www.ds.es.kr

부산 동래초등학교 http://www.dongrae.es.kr/

부산 부산삼육초등학교 http://www.bs36.com

부산 혜화초등학교 http://www.hyehwa.es.kr

대구 계성초등학교 http://www.keisung.es.kr

대구 대구삼육초등학교 http://www.dgsamyuk.es.kr

대구 영신초등학교 http://www.dgys.es.kr

대구 효성초등학교 http://dg-hyoseong.es.kr

인천 영화초등학교 http://younghwa.icees.kr

인천 인천동명초등학교 http://dongmyeong.icees.kr

인천 인성초등학교 http://insunges.icees.kr 

인천 한일초등학교 http://hanil.icees.kr 

인천 인천박문초등학교 http://bakmun.icees.kr 

광주 광주삼육초등학교 http://www.gwangju36.es.kr 

광주 살레시오초등학교 http://www.salesio.es.kr 

광주 광주송원초등학교 http://www.k-songwon.es.kr 

대전 대전성모초등학교 http://www.seongmoes.djsch.kr 

대전 대전삼육초등학교 http://www.dj36.es.kr 

경기 소화초등학교 http://www.sohwa.es.kr 

경기 중앙기독초등학교 http://www.suwoncca.org 

경기 심석초등학교 http://www.simseok.es.kr 

강원 춘천삼육초등학교 http://cc36.gwe.es.kr 

강원 원주삼육초등학교 http://wonju36.gwe.es.kr 

강원 동해삼육초등학교 http://www.sahmyook.es.kr 

충북 청주대성초등학교 http://cjds.es.kr 

충남 서해삼육초등학교 http://seohae36.cnees.kr 

전남 여도초등학교 http://yeodo.es.jne.kr 

전남 광양제철초등학교 http://gwangcheol.es.jne.kr 

전남 광양제철남초등학교 http://gwangcheolnam.es.jne.kr 

경북 포항제철초등학교 http://school.gyo6.net/posco 

경북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http://www.posjigok.or.kr 

경남 대우초등학교 http://daeu-p.gne.go.kr 

경남 샛별초등학교 http://www.saetbyeol.es.kr

 

 

 

2. 공립과 사립, 학비 외에 차이가 뭐냐?

일단 수업료를 많이 받으니(...) 커리큘럼이 다양하다. 

회사를 다녀야하는 엄마는 학교에서 다양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공립을 가서 학비 안드는 걸로 다양한 사교육(이라고 해도 다 예체능 ㅋㅋ)을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기엔 나는 내 자신을 너무 잘 안다.

학원을 알아보고 시간 맞춰 보내고 안맞으면 갈아타고 이런 거 할 수가 없다.

나는 기본적으로 다양한걸 얕고 넓게 접해봤으면 하는 주의라 그냥 학교 내에서 하는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해서 안전하게 많은걸 경험했으면 하는 차원에서 사립을 택했다.

 

3. 사립/국립 단점이 뭐냐?

많이들 얘기하는 건, 동네 친구가 없다. 학교가 멀어서 셔틀버스를 탄다면 아이의 체력이 딸린다. 돈이 많이 든다.

이 중에서 국립은 비용적인 면이 훨씬 덜 들지만, 셔틀버스가 없어서 엄마들끼리 사설 셔틀을 만들어서 다닌다고 합니다.

 

에필로그

훗날 일곱살 자녀를 둔 누군가가 어렴풋하게나마 감을 잡을 수 있다면 그걸로 이 포스팅의 의미는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인 성향(부지런하지 못함)과 교육 철학(두루두루 다양한 것을 가볍게 경험)을 바탕으로 사립을 택하긴 했지만

사실 지금도 잘 한건지 너무 욕심 부린 건 아닌지 걱정은 된다.

애가 힘들텐데 동네 공립을 보내고 그 돈 모아놨다가 중고등학교 때 쓰는게 맞다는 사람들도 있다.

이제 막 학교를 보낼 시기가 된 모든 분들께 한 줄기 가이드가 되었길 바라며